반응형
문제
해결 방법 :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. Astar의 전 단계 느낌의 알고리즘이라 쉽게 풀었다.
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#define INT_MAX 2147483647
struct Route
{
Route(int a, int b): destination(a), cost(b) {}
int destination; //도착 노드
int cost; //비용
};
bool operator>(const Route& This, const Route& Other)
{
if (This.cost == Other.cost)
return This.destination > Other.destination;
return This.cost > Other.cost;
}
int main()
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cout.tie(NULL);
//입력
int CityNum, BusNum, Start, End;
cin >> CityNum >> BusNum;
vector<vector<Route>> Vec(CityNum); //각 vec[출발지]에 도착하는곳과 비용이 담겨있는 벡터.
vector<int> Num(CityNum, INT_MAX); //해당 목적지 까지 소요되는 비용의 최솟값 저장. (int형 최댓값으로 초기화)
priority_queue<Route, vector<Route>, greater<Route>> Cost_PriQue; //비용 정리용 큐.
for (int i = 0; i < BusNum; ++i)
{
int a, b, c;
cin >> a >> b >> c;
Vec[a-1].emplace_back(b,c);
}
cin >> Start >> End;
Cost_PriQue.push(Route(Start, 0));
//길찾기 시작
while (!Cost_PriQue.empty())
{
int TopCost = Cost_PriQue.top().cost;
int TopDes = Cost_PriQue.top().destination;
Cost_PriQue.pop();
if (TopCost > Num[TopDes - 1])
continue;
for (auto& i : Vec[TopDes -1])
if (i.cost + TopCost < Num[i.destination - 1])
{
Num[i.destination-1] = i.cost + TopCost;
Cost_PriQue.push(Route(i.destination, i.cost + TopCost));
}
}
cout << Num[End-1];
}
|
cs |
시작점부터 진행하여서,
해당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좌표들 후보군을 저장하는 우선순위 큐에 필요 거리와 함께 저장. -> 큐의 맨 앞(거리 비용 최소) 좌표를 현재 위치로 지정.
모든 후보군을 찾을 때 까지 반복.(!Cost_PriQue.empty())
잡설 : pair를 굳이 안쓰는건 습관이다.
반응형
'코딩 > 문제풀이-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606번 - 바이러스 (C++) (0) | 2021.07.09 |
---|---|
백준 2164 - 카드2 (C++) (0) | 2021.05.07 |
백준 2805 - 나무 자르기 (C++) (0) | 2021.05.07 |
백준 16234번 - 인구 이동 (C++) (0) | 2021.05.07 |
백준 1735번 - 분수 합 (C++) (0) | 2021.05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