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문제
해결 방법
입력값을 2진수로 변환하여 string에 저장한다.(10입력 -> 1010저장 = 2^3L물병 1개, 2^1L 물병 한개라는 뜻) 이후 가장 L가 적은 물병들을 합쳐주고, 이를 string 내부의 1 갯수(물병갯수)가 내가 들 수 있는 물병의 갯수보다 같거나 작아질때까지 반복한다. 이 과정에서 L가 작은 물병들을 합치기 위해 사용한 추가 물병의 갯수 만큼 답을 출력한다.
아쉬웠던 점
예시로 1000을 탐색할 때, 역순으로 탐색하며 0을 만나면 0 갯수를 누적시켜주고 1을 만나면 누적시킨 0의 갯수만큼 특정 변수에 누적시키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, 구조상 진행하면서 해당 탐색 인덱스 뒤에 0밖에 올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자릿수를 통해서 내 뒤에 있는 0의 갯수를 구할 수 있었다. 지금 생각났네
+지금 생각해보니까 whlie도 필요 없이 그냥 뒤에서부터 한번만 순회하는걸로 끝낼 수 있는 문제인 것 같다. 비효율적으로 짰네 ㅠ
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cmath>
using namespace std;
string to_binary(int num) {
string s = "";
while (num > 0) {
if (num % 2 == 1) s = "1" + s;
else s = "0" + s;
num >>= 1;
}
return s;
}
int main()
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cout.tie(NULL);
int a, b, L = 2, Ans = 0, INum = 0;
cin >> a >> b;
string Str = to_binary(a);
for (auto i : Str)
if (i == '1')
INum++;
while (INum > b)
{
int Zero = 0;
for (int i = Str.size()-1; i >= 0; --i)
{
if (Str[i] == 0)
Zero++;
else
{
Ans += pow(2, Zero);
while (Str[i] == '1')
{
INum--;
Str[i] = '0';
i--;
if (i < 0)
{
Str = "0" + Str;
i = 0;
}
}
INum++;
Str[i] = '1';
break;
}
}
}
cout << Ans;
}
|
cs |
입력받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string에 저장한 후, string을 뒤에서 부터 탐색하여 1을 만나면 2^여태까지 지나온 0 갯수를 정답 출력 변수인 Ans에 누적시킨다. 이후 해당 1을 올림해주고, 연쇄올림 또한 고려하여 처리해준다. 이를 string에 내부에 있는 1(물병)의 갯수가 내가 들 수 있는 물병의 갯수보다 같거나 작아질 때 까지 반복한다.
잡설 : 이론상 들 수 없으면 -1을 출력하라는데 이론상 들 수 없는 경우가 없다.... 왜있는거야
반응형
'코딩 > 문제풀이-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580번 - 스도쿠 (C++) (0) | 2021.07.30 |
---|---|
백준 9944번 - NxM보드 완주하기 (C++) (0) | 2021.07.30 |
백준 4963번 - 섬의 개수 (C++) (0) | 2021.07.16 |
백준 1694 - FEN 체스 (C++) (0) | 2021.07.15 |
백준 14499번 - 주사위 굴리기 (C++) (0) | 2021.07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