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 백준 1430번 - 공격 (C++) 문제 해결 방법 BFS를 통하여 풀 수 있는 평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. 적 위치부터 너비 기반 탐색을 시작하여며 탑을 발견하였다면 n번에 걸쳐서 발견한 탑인지에 따라 에너지/2^n를 누적해주어 탑끼리의 에너지 전달을 구현하였다. BFS방식은 2차원 벡터를 통하여 3,0(Vec[3][0])을 기준으로 2거리 이내의 탑을 찾는다고 한다면, x를 기준으로 최대, 최소인 Vec[1] 부터 Vec[5]까지만 순회하며 해당 좌표가 두 점 사이의 공식(sqrt(pow(XX - i, 2) + pow(YY - j, 2)))을 통하여 거리가 2거리 이내인지 판별하였다.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.. 2021. 8. 7. 백준 2206번 - 벽 부수고 이동하기 (C++) 문제 해결 방법 일반적이지 않은 최단거리 문제라 BFS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, visit를 3차원 배열로 선언하여서 [좌표][좌표][벽을 뚫고 여기까지 도착했는가?]를 표시하였다. [][][1] 이면 해당 좌표까지 도착하는 길에 벽을 뚫고 온 것이고 [][][0]이라면 해당 좌표까지 오는 길에 벽을 뚫고 오지 않은 것. 또한, queue에 좌표뿐 아니라 해당 경로에서 벽을 뚫고 왔는지에 대한 변수 또한 필요하여 총 3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queue를 구성하였다. 아쉬웠던 점 없음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.. 2021. 7. 30. 백준 2580번 - 스도쿠 (C++) 문제 해결 방법 3차원배열[3x3으로 나눴을때의 구역][구역 내 세로][구역 내 가로]을 이용하여서 스도쿠 판을 나타내었고, DFS/백트래킹을 통하여 해결하였다. 이 문제에서 사용된 백트래킹은, 구역+가로+세로의 숫자의 종류가 9가지라면(그 칸에 넣을 숫자가 없다면), 재귀를 되돌아가며 기존에 변경한 값을 모두 0으로 되돌려준다. 아쉬웠던 점 3차원배열로 잘 짠거같은데 벡터때문인지 근본적인 무언가 때문인지 약 300ms로, 시간이 예상보다 느리게 나오더라..(빠를줄 알았는데..) 사실 pop만 있고 push는 없는 구조라서 배열을 사용하고 매개변수로 index를 넘겨주면서 충분히 할 수 있었는데 아쉽다. 애지간하면 배열보다 벡터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였는데 문제풀이 할 때에는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닌 것 같.. 2021. 7. 30. 백트래킹(Backtracking) 알고리즘 설명 DFS를 기반으로 생성된 알고리즘으로, 기존 DFS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찾아가기 때문에 불필요한 탐색이 존재하여 이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.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나온 알고리즘으로, 현재 탐색을 진행하고있는 루트가 이미 실패가 예정된 루트라면 해당 루트를 종료하고 더 이상 그 루트를 통하여 탐색을 진행하지 않고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을 백트래킹이라고 칭한다. 때문에 현재 루트의 가능성을 판단하는 조건이 잘 짜여질수록 효율이 올라가게 된다. 보통 DFS를 사용하는 문제에서, 완전탐색 시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에 대하여 조건을 걸어서 루트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. 대표적인 백트래킹 문제인 N-Queen에서의 예시 문제를 요약하자면 퀸이 서로 겹치지 않게 NxN크기의 판에 N개의 .. 2021. 7. 30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··· 16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