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문제풀이27 백준 2580번 - 스도쿠 (C++) 문제 해결 방법 3차원배열[3x3으로 나눴을때의 구역][구역 내 세로][구역 내 가로]을 이용하여서 스도쿠 판을 나타내었고, DFS/백트래킹을 통하여 해결하였다. 이 문제에서 사용된 백트래킹은, 구역+가로+세로의 숫자의 종류가 9가지라면(그 칸에 넣을 숫자가 없다면), 재귀를 되돌아가며 기존에 변경한 값을 모두 0으로 되돌려준다. 아쉬웠던 점 3차원배열로 잘 짠거같은데 벡터때문인지 근본적인 무언가 때문인지 약 300ms로, 시간이 예상보다 느리게 나오더라..(빠를줄 알았는데..) 사실 pop만 있고 push는 없는 구조라서 배열을 사용하고 매개변수로 index를 넘겨주면서 충분히 할 수 있었는데 아쉽다. 애지간하면 배열보다 벡터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였는데 문제풀이 할 때에는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닌 것 같.. 2021. 7. 30. 백준 9944번 - NxM보드 완주하기 (C++) 문제 해결 방법 입력 시, *의 갯수를 카운팅하고, 내부에서 DFS를 통하여 구현하였다. 내부 작동 중 .을 *로 바꾸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최종*의 갯수가 NxM의 갯수가 되면 리턴하였다. 또한, 백트래킹을 이용하여 롤백을 구현하였으며, 외 특별한점은 없다. 아쉬웠던 점 없음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#include .. 2021. 7. 30. 백준 1052번 - 물병 (C++) 문제 해결 방법 입력값을 2진수로 변환하여 string에 저장한다.(10입력 -> 1010저장 = 2^3L물병 1개, 2^1L 물병 한개라는 뜻) 이후 가장 L가 적은 물병들을 합쳐주고, 이를 string 내부의 1 갯수(물병갯수)가 내가 들 수 있는 물병의 갯수보다 같거나 작아질때까지 반복한다. 이 과정에서 L가 작은 물병들을 합치기 위해 사용한 추가 물병의 갯수 만큼 답을 출력한다. 아쉬웠던 점 예시로 1000을 탐색할 때, 역순으로 탐색하며 0을 만나면 0 갯수를 누적시켜주고 1을 만나면 누적시킨 0의 갯수만큼 특정 변수에 누적시키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, 구조상 진행하면서 해당 탐색 인덱스 뒤에 0밖에 올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자릿수를 통해서 내 뒤에 있는 0의 갯수를 구할 수 있었다. 지금 생각났.. 2021. 7. 16. 백준 4963번 - 섬의 개수 (C++) 문제 해결 방법 Dfs방식을 사용하여 세계 전체를 순환하다가, 땅을 찾는다면 해당 땅을 기준으로 주변 탐색-> 땅을 탐색했다면 탐색된 땅의 주변 검색 -> 을 반복하며 연결된 땅을 모두 검색한다. 아쉬웠던 점 [주변칸 탐색 -> 땅이라면 또 주변칸 탐색 -> 반복]으로 구성되어있어, 이전에 검색했던 범위는 반복을 하지 않는 방법이 있나 생각해보았는데 잘 모르겠다.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#include #include using n.. 2021. 7. 16.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